oto방송 김민석 기자 |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국회의원(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건수 및 금액’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23~2025.06)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585억 원이며 피해 건수도 3,008건으로 매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규모는 최근들어 크게 증가해 지난 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4조원을 넘어설만큼 심각한 상황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에 확인된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최근 3년간 새마을금고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23년 119억 원, `24년 270억 원, `25년 6월 196억 원으로 증가세이고, 피해 건수 또한 `23년 980건, `24년 1,135건, `25년 6월 893건으로 매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올해의 경우, 상반기(6월까지) 피해 현황만 집계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피해 금액은 이미 `23년 한 해 전체 피해액(119억)을 넘어섰다. 피해 건수 역시 상반기에만 893건에 달해,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연말에는 전년도 피해 건수(1,135건)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새마을금고 자체 집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2023~2025.06) 피해 금액이 가장 큰 지점은 부산지부 전포1동점(약 15억 원), 서울지부 동대문동부점(약 12억 원), 광주ㆍ전남지부 중흥점(약 1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 건수는 대전ㆍ세종ㆍ충남지부 탄동점(36건), 대전ㆍ세종ㆍ충남지부 유성점(31건), 서울지부 동대문동부점(29건) 순으로 많았다.
박정현 의원은 “최근 들어 성행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 규모가 매년 수천억원에 이르고 있다”라고 말하면서, “피해자 연령층 대다수가 20대와 60대 이상 금융 취약계층인만큼 서민금융을 뒷받침하는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기관들이 앞장서서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을 위한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새마을금고와 같은 상호금융기관은 읍ㆍ면 단위에 위치한 지점이 많아 지방에 거주하는 고령층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금융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데도 이에 걸맞은 시스템 구축이나 인력 배치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